[칼럼] 클럽벨, 페르시안밀 운동법의 차이 '추가 설명'

지난주 작성한 클럽벨 칼럼의 반응이 생각보다 뜨거워서 놀랐습니다.
http://somaandbody.com/sb/칼럼-클럽벨-페르시안밀-운동법의-차이와-훈련법-tip
특히 클럽벨 운동법이 견갑대와 상지에 대한 기능성 트레이닝으로 개발되었다는 제 주장에 대해, 전신 운동임을 많이들 강조해주셨습니다. 저 역시도 전신 운동인 걸 잘 알고 있습니다. 두 다리를 땅에 박고 하지를 안 움직인다고 전신 운동이 아닌 게 아님을 압니다.ㅠㅠ 글에서도 클럽벨은 전신운동이 아니라고 언급한 적은 없습니다. 그런 뉘앙스가 읽혔다면, 페르시안밀과 비교 설명하다 보니 그런 오해를 낳았다고 변명 해봅니다. 그리고 그 설명이 매우 부족했습니다. 제 잘못이니 누구 탓을 하겠습니까? 그래서 설명을 추가합니다.
운동을 할 때, ‘어느 신체 관절의 가동 범위를 얼만큼, 어떻게 활용하느냐’ 는 그 운동의 전체적인 신경근 활용 성격을 결정합니다. ‘돌린다’는 의도를 위해서라면 쿼터 스쾃의 가동 범위까지도 적극 활용하는 고중량 페르시안밀 테크닉은 하지의 이센트릭 및 컨센트릭 근수축 형태를 보입니다. (밑에 영상 참고)
[youtube]https://youtu.be/T3lGnnnT2mc[/youtube]
반면 클럽벨 운동법은 하지를 아이소메트릭 근수축 형태로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이를 확보 할 수 있는 선에서 중량을 결정하는게 보통입니다. 즉 페르시안밀 운동법에 비해 하지 움직임을 전략적으로 덜 쓴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밑에 영상 참고)
[youtube]https://youtu.be/LgwwAln0jVk[/youtube]
따라서 페르시안밀 운동법이 클럽벨 운동법에 비해 하지의 신장 반사력에서 나오는 파워를 끌어쓰는데 더 적극적이며, 운동 패턴도 최적화되어 있습니다.(티칭법도 아예 다릅니다) 당연히 더 고중량, 고반복이 가능합니다. 이는 페르시안밀 운동법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게 아닙니다. 애초에 둘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뭐가 더 나은지에 대한 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
둘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극단적인 예를 들면, 바벨 저크와 밀리터리 프레스가 있습니다. 둘 다 머리 위로 무게를 올리는 훌륭한 ‘전신 운동’입니다. 하지만 어느 쪽이 더 파워 훈련에 가까운지, 총 출력량이 어느 쪽이 더 클 수밖에 없는지는 분명히 구별됩니다. 제가 페르시안밀 15kg 을 첫 도전한 영상을 첨부합니다.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페르시안밀을 쿼터 스쾃에서 나오는 신장 반사력과 전신 탄성 및 파워로 커버하는 게 느껴지시나요? 저크를 하듯 페르시안밀을 순간적으로 가속하고 있습니다. 몸은 거의 점프를 하는 느낌입니다. (밑에 영상 참고)

[youtube]https://youtu.be/fdI-CAb4B0A[/youtube]

주현 선생님에 비해 제가 10kg 정도 가볍다 보니 가속화 시키는 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했습니다. 영상을 보면 순간 가속되는 구간과 점프의 느낌이 훨씬 더 잘 보이지요? 흥미롭게도 이는 기르보이스포츠 케틀벨 스내치의 엑셀레이팅 풀 테크닉과 그 원리가 비슷합니다.

[youtube]https://youtu.be/aGsQjCe7GOc[/youtube]

위 기르보이스포츠 스내치 테크닉을 설명하면 무릎과 고관절이 펴지는 힘으로, 케틀벨에 붙은 중력 가속도를 더 가속화 시키고 있습니다. 페르시안밀 테크닉도 똑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무릎과 고관절이 펴지는 힘으로, 페르시안밀에 붙은 중력 가속도를 더 가속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이지요.

페르시안밀, 기르보이 스포츠, 메이스벨 테크닉은 가속화 전략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클럽벨 운동법과 페르시안밀 운동법은 근본적으로 완전히 다릅니다. 하드스타일과 기르보이스포츠가 서로 다르듯이 말이지요. 재밌는 사실은 하드스타일 케틀벨 운동법은 클럽벨 운동법과 힘쓰는 패턴에 있어서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그래서 하드스타일 수련자들은 클럽벨 수련을 쉽게 받아들입니다. 반면 기르보이스포츠를 해봤던 사람이라면 페르시안밀 운동법을 더 잘 받아들이리라 생각합니다.

정리하면 무얼 선택하든 틀린 쪽은 없습니다. 자신의 목적에 따라 수단을 선택하면 됩니다. 단, 실수 없는 선택을 위해서는 각각의 운동법을 명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운동법을 선택하시겠습니까? 도구가 아닌 운동법에 포커스를 맞추세요. 페르시안밀을 클럽벨 운동법으로 다룰 수도 있고, 클럽벨을 페르시안밀 운동법으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운동법입니다.

Was this article helpful?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