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세를 따라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운동을 배울 때, 자세만 따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세가 같다고 정말 움직임이 같을까? 자세를 완벽히 따라하면 완벽한 테크닉일까? ‘무릎이 앞으로 나오면 안된다’ 또는 ‘허리는 구부르지 말아야 한다’ 같은 시각적이며 부분적인 정보에 의존하는 것은, 정적인 이미지에 역동적인 움직임을 끼워맞추는 셈이다. 정지된 것처럼 보이는 자세 역시, 역동적인 움직임임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시각적으로만 따라해서는 운동법을 제대로 배울 수 없다. 움직이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은 신체 연결성을 스스로 느끼는 인지 과정이 포함돼야 한다. 시각(이미지), 청각(텍스트) 같은 외재적 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고유수용감각과 그 감각을 알아채는 인지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시각과 청각과 같은 외부 수용 감각은 움직임에 있어서 힌트만을 줄 뿐이다.
‘다양한 요가, 운동, 그리고 바디워크 수련법들이 신체의 정열을 강조한다. 나는 바른 자세와 올바른 자세와 올바른 신체 정렬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는 오류가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정렬이란 말은 ‘정적인 이미지나’ 완벽한 모양’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 소마지성을 깨워라 (저자:리사 카파로)
2. 단순 반복 수행하지 않는다.
사람은 자연스러운 의도에 따라 움직임 패턴(연결성)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걷고, 뛰고, 던지고, 미는 등의 의도를 수행할 때 우리 몸은 그 의도에 맞춰 매우 입체적인 움직임을 한다. 이는 데드리프트, 스쿼트, 프레스, 스윙, 스내치 등의 웨이트트레닝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부분적이고 기계적인 관점에 머물러 있고, 단순히 반복 수행하는 방식으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반복수와 중량에 집착하거나, 특정 근육군을 발달하기 위해 부분적인 운동을 한다. 이는 ‘운동 효과’에 집중하기 때문인데, 역설적으로 운동이 주는 효과를 100% 누릴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움직임의 의도가 무엇인지 명확히 하는 것이 먼저다. 효과는 그 다음이다.
‘…make the impossible possible, the possible easy, the easy elegant’ – 모쉐 펠든크라이스
3. 부분적인 목적을 버린다.
운동은 보통 어떤 신체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진다. 대부분 근력강화, 유연성, 체중감량, 체형교정 등의 목적이 우선된다. 하지만 이런 부분적인 목적들에 집착하게 되면, 움직임이 갖는 전체성을 해친다. 대표적으로 보디빌딩 방식의 운동은 몸을 기계적(키네틱 체인)으로 보게 만든다. 몸을 기계처럼 쓸수록 몸이 갖고 있는 장력간의 동적 균형 상태(긴장통합구조)는 무너진다. 예를 들어, 엉덩이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케틀벨 스윙을 하면, 엉덩이는 강화될지 모르지만 몸은 기계적 감각을 학습하게 되는 꼴이다. 우리 몸이 기계가 아닌 이상, 특정 목적에 집착하는 일은 움직임이 갖는 자연스러움과 전체성을 해친다.
4. 내재감각에 집중한다.
우리 몸은 기계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정교하다. 현대 기계 공학으로는 인간의 몸과 움직임을 100% 구현할 수 없다. 우리 몸은 중력장 위에서 장력간의 동적 균형 상태로 구성된다. 발끝부터 손끝까지 연결되어 있고, 아주 작은 변화가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다행히 그 작은 변화를 알아차리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 몸을 잘 움직일 수 있다. 바로 고유수용감각(내재감각) 덕분이다. 고유수용감각은 몸에 흐르는 중력과 장력의 변화를 알아차린다. 지금 당신이 하고 있는 자세에서 지면과 내 몸의 관계를 살피자. 어디에 체중이 더 실려있고, 덜 실려 있는가?
체화 5. 삶으로 발현한다.
기술이 삶으로 확장 발현될 때, 궁극적인 체화라 볼 수 있다. 이소룡은 테크닉이 없는 것을 최고의 테크닉으로 여겼다. 사냥의 고수는 총이 없어도 손가락으로 총을 쏠 수 있다. 이세돌은 바둑은 바둑이다고 말하며 어떠한 의미부여도 거부했다. 기술이 삶으로 체화되면, 그 기술은 한없이 단순해지고 심지어 그 의미조차 없어진다. 우리는 젓가락질에 어떠한 의미도 부여하지 않지만, 그 움직임은 완전히 체화됐다. 한국인의 손기술이 젓가락질 덕분이라는 분석은 바로 기술 체화가 삶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반증한다. 아무도 젓가락질에 커다란 의미를 부여하지 않듯, 어떤 특정 테크닉에 절대적 의미를 부여하지 마라. 결국 테크닉은 도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p.s
운동법을 체화하는 과정은 과학이 아닌 기술이다. 과학이란 하나의 철학 및 지식 체계이지 기술보다 우위에 있지 않다. 이 기술은 매우 총체적이라 운동 역학, 해부학, 생리학에 기반하여 객관적 데이터를 축적했더라도 완전히 파악될 수 없다. 움직임은 과학적으로 완벽하게 구현될 수 없다. 뇌를 복사하는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따라서 스포츠 과학으로 한정 짓고 운동법을 분석하는 일은 그 한계를 인정해야 한다. 운동법은 스포츠 과학으로도 파악될 수 있지만, 무술인의 관점에서도 길거리 싸움꾼의 관점에서도 파악될 수 있다.
‘과학이란, 인간의 지식을 특징지우는 어떠한 측면이다. 과학이란 본시 기술과는 무관한 인간의 사변이성(Speculative Reason)의 산물인 것이다. 과학의 특징은 인간이 살고 있는 셰계를 법칙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법칙적’이라는 것은 대강 희랍인들에 의하여 ‘연역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는데, 이 연역적인 인간의 사유의 방법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수학’이라는 것이다. 더 이상 깊게 이야기는 하지 않겠는데, 이 과학이라는 것은 기술의 전제 위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다. 과학은 인간의 사변이 고도화되면서 생겨난 하나의 철학 체계요, 지식 체계와도 같은 것이다. 다시 말해서 원시인들이 토기를 굽는 것은 ‘기술’이다. 그러나 그들이 토기를 구울 때 과학적이라는 연역적 전제를 꼭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흙과 불에 대한 과학적 일반 이론을 전혀 몰랐을지라도, 놀랍게 훌륭한 토기를 구워내었다는 것이다.’ – 노자와 21세기, 김용옥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