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틀벨 저크, 스내치, 롱사이클 경기 규정

General provisions.

5.1. The participant is invited to the platform at least two minutes prior to the beginning of his/her flight. Five seconds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flight the time is counted down in seconds: 5, 4, 3, 2, 1. During this time the participant must be on the platform. At the start of the flight the command “start” is given. After the “start” command the participant is obliged to begin the exercise: jerk or snatch or long cycle. In the case that a participant lifts the kettlebell(s) from the platform before a command of “start,” the head judge will give the command “stop and place the kettlebell(s) on the platform and then begin the exercise.”

5.1 참가자는 적어도 경기 시작 2분전에 도착해야 한다. 경기 시작 5초 부터는 카운트 다운이 시작된다. 이때 참가자는 경기장(Platform) 위에 서있어야 한다.  경기가 시작되면 시작(Start)이 선언된다. 경기가 시작하면 참가자는 해당되는 종목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만약 시작이 선언되기 전에 참가자가 케틀벨을 들면, 주심이 케틀벨을 놓고 다시 시작 할것을 요청하게 된다.
5.2. The participant who is late to the platform will be disqualified.
5.2 참가자가 늦을 경우에는 실격된다.
5.3. 10 minutes is given as the time limit for competition exercises. The judge-secretary will announce time as each minute passes. After 9 minutes have passed, control time will be announced at 50 seconds, 30 seconds, 10 seconds, 5 seconds, and every second until time runs out.
5.3. 10분의 경기 시간이 주어진다. 부심은 매 분이 지날때마다 알려주며 9분이 지난 후에는 50초, 30초, 10초, 5초, 그리고 마지막에는 매초 마다 알려준다.

5.4. After 10 minutes the “Stop” command will be called and the participant must stop performance of exercise.

5.4 10분이 지난 후에 ‘Stop’ 이 선언되면 참가자는 동작을 멈춰야 한다.

5.5. Each properly executed repetition is accompanied by a signal of the platform judge. The judge declares the signal as soon as all parts of the body of the competitor become motionless.

5.5 매번 적절한 동작이 수행된다면 심판의 득점 신호를 준다. 심판은 참가자의 동작이 멈추는 순간(Motionless)부터

가능한 빨리 신호를 줄것이다.

5.6. If the competitor conducts a foul or violates any rules of the technical performance, the platform judge can issue a “no count” or “stop set.”

5.6 만약 참가자가 파울을 범하거나 반칙을 한다면 심판은 득점을 인정하지 않거나 중단을 선언 할 수 있다.

5.7. In the case of any part of the competitor’s body coming in contact with the platform, or in the case that the competitor leaves the platform a “stop” command is given.

5.7 참가자의 몸이 경기장 바닥에 닿거나 참가자가 경기장 바깥으로 나간다면 중단이 선언된다.

5.8. If a competitor cannot completely straighten elbows due to anatomical deviations, or medical condition, he/she should inform the platform judges and/or jury before the beginning of the flight.

5.8 만약 참가자가 해부학적이거나 의학적인 이유로 팔꿈치를 완전히 펼수 없다면, 반드시 경기전에 심판에게 알려야 한다.

JERK

5.9. The JERK is carried out from the following starting position: kettlebells are fixed on the chest, arms are pressed to the trunk, legs are straightened. Kettlebells are then launched into the overhead position and arms, trunk and legs should be straightened. Legs and kettlebells should be in line and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body. After fixation in the overhead position, the platform judge will issue a point and the participant lowers kettlebells back to starting position.

5.9 져크(Jerk)는 다음 자세에서 시작한다
  -.케틀벨이 가슴과 발에 고정되어 있고 몸통을 누르고 있으며, 다리는 펴진 자세.
  -.그리고 케틀벨이 머리위로 올리면서 시작된다. 팔, 몸통, 다리는 반드시 펴져야 한다.
  -.양 다리와 케틀벨은 동일선상에 있어야 하며 몸과 평행해야 한다.
  -.머리위에서 고정(Fixiation)된 후에 심판이 득점을 인정하면 참가자는 케틀벨을 떨어트려서 시작자세로 돌아온다
 중요사항 : 고정(Fixiation) 자세가 중요하다.케틀벨과 선수가 정지된 동작을 심판이 볼수 있어야 한다.

Important note: fixation is punctuated by a dedicated, visible stop of the kettlebells and the athlete.

5.10. The “Stop” command is issued when:

  • a participant conducts a technical foul;
  • kettlebells are held in a position lower than the hands (i.e. no cleans or farmer’s carry).
5.10 아래의 경우에는 중단(Stop)이 선언된다.
  •  참가자가 파울을 범한 경우
  • 케틀벨의 무게중심이 손보다 아래있을 경우(파머스 워크 자세 or 클린 되지 않았을때)

5.11. The “No Count” command is issued when:

  • there is additional push (with legs) or additional press (with arms) of kettlebells (the kettlebell must ascend in a continuous manner without stopping)
  • absence of fixation in starting and overhead position

5.12. LONG CYCLE: A JERK of kettlebells from the chest with the subsequent lowering of the kettlebells into clean position. In this event the kettlebells can be held in a position lower than the hands (clean), but must be between the legs and in motion (clean action). Kettlebells can not be held motionless in a position lower than the hands. LONG CYCLE uses the same rules as JERK, but the “STOP” command is issued when the kettlebell touches the platform.

5.12 롱사이클(Long Cycle) : 져크 동작에서 케틀벨이 가슴에 있을때 연속해서 케틀벨을 떨어뜨리고 다시 클린으로 돌아온다. 이 동작에서는 케틀벨이 손보다 아래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케틀벨은 반드시 다리 사이에서만 움직여야 한다. 케틀벨은 정지된 상태에서 손보다 아래에 있을 수 없다. 롱사이클은 져크와 룰이 같고 다만 케틀벨이 땅에 닿을 때 중단(Stop)이 선언된다.

SNATCH

5.13. The performance of the Snatch is carried out in one step from the starting position between the legs. The participant should swing the kettlebell in a continuous movement upward into the overhead position and fixate. Fixation is achieved when the kettlebell is in the overhead position and arms, legs and trunk are straightened. The legs and kettlebell should be in line and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body. After fixation, the platform judge will issue a point, and the competitor will lower the kettlebell to the starting position between the legs without the kettlebell touching any part of the trunk. Change of hands can be made once in any manner. If the kettlebell touches the shoulder or trunk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hand, this will be considered the transition to switch the kettlebell to the 2nd hand, and a command to “switch” hands will be issued by the platform judge.
* Multiple swings between the legs shall be allowed as long as the kettlebell is motion.

5.13 스내치 동작은 케틀벨이 다리 사이에서 나올때 부터 시작된다. 참가자는 케틀벨을 연속적으로 머리위로 올리고(Overhead Position) 그 후에 고정(Fixiate)해야 한다. 고정 동작은 케틀벨이 머리위에 있으면서 팔과 다리 몸통이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양 다리와 케틀벨을 일직선이 되어야 하며 몸통과 평행해야 한다. 고정 동작 후에 심판이 득점을 인정하면, 참가자는 케틀벨을 떨어뜨려서 다리사이의 시작동작으로 돌아와야 하며, 이과정에서 케틀벨이 몸통의 어떤 부위에도 닿으면 안된다. 손을 바꾸는것은 어떤 경우에도 단 한번만 허용된다. 만약 첫번째 손을 사용하는 중에 케틀벨이 어깨나 몸통의 다른 부위에 닿으면, 심판에 의해 Switch가 선언되며 다른 손으로 바꿔야 한다.
* 케틀벨이 움직이고 있다면 다리사이로 여러번 스윙 하는 것은 허용된다.
5.14. The “Stop” command will be issued when:

  • there is a technical foul;
  • the kettlebell touches the shoulder or trunk when held by the 2nd hand;
  • the kettlebell touches the platform.
  • the kettlebell is held motionless in the position lower than the hip (kettlebell must be in motion during swing phase)
5.14 다음의 경우에 중지(Stop)이 선언된다.
  • 파울을 범한 경우
  • 2번째 손을 사용중일때 어깨나 몸통에 케틀벨이 닿은 경우
  • 케틀벨이 땅(Platform)에 닿은 경우
  • 케틀벨이 엉덩이(Hip)보다 아래에서 정지 한경우(Motionless) (케틀벨은 스윙동작에서는 반드시 움직이고 있어야 한다)

5.15. The “No Count” command is issued when:

  • there is an additional press (with arm) of the kettlebell;
  • absence of fixation in overhead position
  • the free hand touches any part of the body, platform, kettlebell, working hand, legs, or trunk.
5.15. 다음의 경우에는 득점이 인정되지 않는다(No Score)
  • 팔을 통해서 추가적인 밀기(Press) 동작이 있을 경우
  • 케틀벨이 머리 위에 있을때 고정(Fixiation)이 없을 경우
  • 케틀벨을 잡지 않은 손이 몸통인, 바닥, 케틀벨, 혹은 케틀벨을 잡은 손이나 다리, 몸통에 닿은 경우.

원문 출처 : http://giri-iukl.com/
번역 출처 : http://cafe.naver.com/somaandbody/6588

p.s : 대회를 주최하는 단체마다 경기 규정이 다릅니다. 참가하는 대회 규정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Was this article helpful?

Related Articles